강박증이란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Clinic

최신연구 및 치료동향

강박증의 전두엽-창백핵 신경 회로 불균형으로 인한 주의 전환 기능 손상 연구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강박증클리닉

작성일 2022-05-13 14:05 댓글 0건 조회 135회

본문

제목: Unbalanced fronto-pallidal neurocircuit underlying set shifting in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저널: Brain 2022

강박증 환자들은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특정 행동을 습관적으로 반복하는데 이는 보통 사고의 관점을 유연하게 전환할 수 있는 능력인 인지적 유연성이 떨어져 있기 때문이라고 알려져있다. 이러한 특징은 강박증 환자들에서 복측부 전전두엽 영역(ventrolateral prefrontal region)을 포함한 '피질-기저핵-시상-피질 회로 (cortico-basal ganglia-thalamo-cortical circuit)'의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알려진 피질-선조체 연결성 (cortico-striatal connectivity)과 시상-피질 연결성 (thalamo-cortical connectivity)에 대한 연구들은 두뇌 피질의 손상된 연결성이 강박증 환자의 불균형한 신경회로와 어떤 연관이 있는지 이해하기에는 충분하지 못하다.

따라서, 우리는 이번 연구에서 환자들의 비정상적이고 불균형적으로 보이는 신경회로를 발견하고 환자들의 유연하지 못한 인지 능력과 이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는 강박증 환자군과 정상대조군 사이의 네트워크 연결성의 차이를 분석하였고 강박증 환자들의 저하된 네트워크 연결성이 인지적 유연성을 평가할 수 있는 주의 전환 (Set-shifting)과 관련된 검사를 수행함에 있어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았다

우리 연구에서 환자들은 정상대조군에 비해서 주의 전환 검사 중 하나인 선 추적 검사 (Trail Making Test)를 수행할 때 선을 훨씬 느리게 이었고, 숫자와 글자를 번갈아서 전환하여 이어야 하는 검사를 잘 수행하지 못하고 실수를 더 많이 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 환자들의 뇌에서 전두엽-선조체 연결성과 선조체-외방부 창백핵의 연결성 (fronto-striatal and striato-external pallidal connectivities)이 감소되어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고 선조체-시상 네트워크 (striato-thalamic subnetwork)의 연결성도 저하되어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환자들은 정상대조군에 비해 전두 외방부 창백핵 (fronto-external pallidal)과 시상내부 (intra-thalamic) 네트워크의 연결성은 높게 나타났다.

특히 이러한 환자들 중에서 복측외측 전전두엽-외방부 창백핵에서 높은 연결성 (ventrolateral prefronto-external globus pallidal hyperconnectivity)을 보이는 환자들이 숫자와 글자를 번갈아 가면서 전환하여 잇는 검사를 더 잘 수행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우리는 이번 연구를 통해 강박장애의 유연하지 못한 습관적인 반복 행동을 치료하기 위해 복측외측 전전두엽과 외방부 창백핵 (ventrolateral prefrontal cortex and external globus pallidus)을 신경 조절을 위한 타겟으로 삼아야한다는 것을 제안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